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아두이노] 리모콘 신호 수신하기 아두이노에서 리모콘 신호 수신 테스트를 해 보았습니다. 리모콘의 신호는 적외선을 사용하는데 아래 KSM-603LM 부품으로 적외선을 수신 할 수 있습니다. 정면을 기준으로 1번핀 출력, 2번핀 GND, 3번핀 VCC(+5V) 입니다. 아두이노에 간단히 꽂을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은 소켓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이런식으로 꽂아서 테스트 할 수 있습니다. 라이브러리 매니저에서 IRremote로 검색해보니 현재 3.0.0버전이 최신버전입니다. 설치합니다. IRremote 라이브러리에서 제공되는 예제 중 IRreceiveDump를 실행 후 TV용 리모콘으로 수신 테스트를 해 보았습니다. 전원버튼을 누르니 삼성리모콘으로 인식되었고 전원키의 IR코드 데이터가 출력되었습니다. 여분의 리모콘의 데이터를 덤프하여 새로운 리.. 2021. 1. 28.
[아두이노] TM1637 4-Digit 7-Segment 디스플레이 사용하기 TM1637은 중국의 Titan Micro Electronics라는 회사에서 만든 칩으로 최대 4자리 7세그먼트 디스플레이를 할 수 있는 IC 입니다. 이 칩의 가장 좋은 점은 4-Digit 7-Segment를 단지 2개의(DIO/CLK) 라인으로 컨트롤 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기존의 7 세그먼트를 사용하기 위해서 Dynamic display 또는 74HC595를 사용했었는데, 이제 이 모듈 하나면 다 해결이 되네요. 외형은 아래와 같습니다. 전면에는 4-Digit 7-Segment가 위치해 있고, 그 오른쪽에 4핀 컨넥터가 있습니다. 후면에는 TM1637칩과 커패시터 2개 저항 2개가 붙어 있습니다. 라이브러리 매니저에서 TM1637로 검색을 해 보면 여러개의 라이브러리가 검색되는데, 저는 아래 버전으.. 2021. 1. 9.
[아두이노] MCP4725(12bit DAC) 사용하기 아두이노에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가 있읍니다. MCP4725는 그 반대의 역할을 하는 DAC(Digtal to Analog Converter) 기능을 수행합니다. MCP4725 12비트 DAC를 탑재한 DAC모듈로 I2C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값이 출력되며 2.7V ~ 5.5V 내에서 동작됩니다. I2C의 어드레스의 주소를 변경 할 수 있는 A0핀이 나와 있어서 Vdd나 Vss에 연결하여 I2C 주소 변경이 가능합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모듈의 I2C 어드레스는 0x60이었습니다.) 외형은 아래와 같습니다. 라이브러리 매니저에서 Adafruit MCP4725를 검색하여 설치 해 줍니다. 예제로 sinewave, trianglewave 2개가 제공되는데 두가지 예제를 .. 2021. 1. 9.
[아두이노] USB HOST SHIELD - 입/출력 테스트(feat. 안드로이드폰) USB Host Shield 라이브러리에서 제공되는 demokit_20.ino 예제는 안드로이드 폰과 USB Host Shield간의 입/출력 테스트를 할 수 있는 좋은 예제라 생각되어 테스트 해 보았습니다. 이전의 예제는 데모용 안드로이드 앱을 같이 제공되고 있는데 이번 예제는 데모용 안드로이드 앱을 제공 해 주고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제 입맛에 맞게 안드로이드 어플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Android Studio - ConstraintLayout 사용하기 오랜만에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을 작성할 필요가 있어서 살펴보니 그간 많은 것이 바뀌었네요. 제가 마지막으로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을 작성했으때만 해도 이클립스에서 android sdk를 설 rudalskim.tistory.com Android S.. 2021. 1. 6.
[아두이노] 74HC595 테스트 이전 게시물에서 FND를 동작시켜 보았습니다. 그런데 FND 한개를 동작시키기 위해서 8개의 포트를 사용해야 합니다. FND 2개만 사용하면 아두이노의 거의 모든 포트를 사용해야 동작 시킬 수 있습니다. 다른 센서나 디바이스를 붙이려면 포트가 부족하게 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표적으로 Serial to Parallel Shifting-Out 할 수 있는 74HC595를 사용합니다. 3개의 컨트롤 라인을 통해 8개의 Output 포트를 제어 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각 핀에 대한 설명입니다. 컨트롤로 사용되는 핀은 DS/SH_CP/ST_CP 3라인이 사용되며 전원관련 VCC/GND 2라인과 데이터 출력으로 Q0 ~Q7 총 8개의 라인이 사용됩니다. 아래와 같이 회로를 구성할 예정입니다. 이전.. 2021. 1. 3.
[아두이노] FND (7 segment) 테스트 FND(Flexible Numeric Display)는 숫자를 표시하기위해 8개의 LED를 각 핀에 연결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입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내부적으로 8개의 LED가 각 핀에 연결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각 LED 핀은 시계방향으로 a/b/c/d/e/f/g/dp순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LED를 켜기 위해서는 +/-를 연결해 줘야하는데 +극을 공통으로 사용하는 common-anode타입(아랫그림 왼쪽)과 -극을 공통으로 사용하는 common-cathode타입(아랫그림 오른쪽) 2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common-cathode으로 테스트를 해 보았습니다. 아두이노와 아래와 같이 연결합니다. 아래는 위 회로대로 실제 연결한 사진입니다 아래 코드를 사용하여 테스트를 하였습.. 2021. 1.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