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Ubuntu에서 멀티파티션을 가진 디스크 이미지 읽고 쓰기 오래전에 구매해 놓은 이북 리더기를 분해 해 보니 마이크로 SD 카드를 사용하여 부팅을 하고 있었습니다. 백업 차원에서 마이크로 SD를 한 부 복제 해 뒀는데 이 한 개의 마이크로 SD 이미지 안에 여러 개의 파티션을 가지고 있는 구조로 되어 있었습니다. 파티션의 데이터를 수정하기 위해 ubuntu 20.04를 사용하여 이미지내에 존재하는 멀티 파티션을 읽기/쓰기 테스트를 해 보았습니다. 먼저 백업한 이미지를 작업 디렉터리에 test.img로 복사하였습니다. losetup이라는 명령어가 있는데 디스크 이미지를 loop device로 링크시켜주는 명령어입니다. 자세한 옵션 및 내용은 아래 man page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Ubuntu Manpage: losetup - set up and control.. 2021. 8. 24.
[Visual Studio Code] Live Preview 확장 프로그램 사용하기 이전에 Visual Studio Code에서 HTML/CSS/Javascript 파일을 실시간 편집 및 확인하는 방법으로 Browser Preview와 Live Server extension을 설치하여 테스트했었습니다. (아래 게시글 내용) [Visual Studio Code] Browser Preview 플러그인 사용하기 일반적으로 HTML/CSS/Javascript 등의 작업을 하는 경우 편집기에서 코드 수정을 한 후 크롬/엣지등의 브라우저를 따로 실행하여 결과를 확인하곤 했습니다. 이렇게 에디터와 브라우저를 왔다 갔다 rudalskim.tistory.com HTML Preview를 하기 위해서는 2개의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해야만 했었는데, Visual Studio Code가 업데이트되어 히스토리를 .. 2021. 8. 12.
[Visual Studio Code] Browser Preview 확장 프로그램 사용하기 일반적으로 HTML/CSS/Javascript 등의 작업을 하는 경우 편집기에서 코드 수정을 한 후 크롬/엣지등의 브라우저를 따로 실행하여 결과를 확인하곤 했습니다. 이렇게 에디터와 브라우저를 왔다 갔다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불편합니다. 그래서 제가 사용하는 Visual Source Code의 플러그인을 검색해 보니 Browser Preview라는 플러그인을 발견하였고, 이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에디터 안에서 바로 수정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것 같아 설치하여 테스트해 보았습니다. 어떤 식으로 동작되는가 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가운데 탭의 index.html을 수정하면 오른편의 Browser Preview탭에 변경된 결과가 바로 반영되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선 플러그인 설치를 위해 왼편의.. 2021. 6. 22.
[Visual Studio] Microsoft Symbol Server 로딩 비활성화 Visual Studio 2019를 사용하다가 언제부터인지 모르겠는데 빌드 할때마다 Microsoft Symbol Server로부터 심볼을 읽어들이는 동작을 계속합니다. 얼마전에 Symbol 어쩌구 팝업이 떠서 그냥 OK를 했던게 원인인듯 싶은데 이 설정이 새 프로젝트를 만들때마다 적용이 되는듯 보여 불편합니다. 아래와 같은 창이 빌드때마다 보여집니다. 너무 불편하여 검색을 해 보니 옵션 설정에서 해제하는 방법을 알게되었습니다. 해제 방벙은 메뉴 -> Tools -> Options를 선택합니다. 검색창에 symbol을 검색하면 아래와 같이 나오는데 왼쪽 트리 메뉴의 Debugging/Symbols를 선택 합니다. 그러면 오른쪽에 Symbol file(.pdb) locations에 Microsoft와 Nu.. 2021. 6. 4.
Private IP and Public IP Address (사설/공인 IP) Private IP Address (사설 IP) Private IP(사설 IP)는 내부 네트워크상에서만 사용되는 고유한 주소로 외부 인터넷상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IP 주소입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많이 사용하는 공유기 등의 장비가 하나의 공인 IP를 할당받고 NAT방식을 통해 여러 컴퓨터가 나누어 쓰는 방식으로 사용될 때 주로 사용되며 아래 표와 같이 B와 C class의 사설 IP 대역이 많이 사용됩니다. 제 경우 IPTime 공유기를 사용하는데 접속되는 기기들에게 192.168.0.XXX의 IP 주소가 할당되고 있습니다. Public IP Address (공인 IP) Public IP(공인 IP)는 외부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할당되는 IP 주소로 ICANN, 인터넷.. 2021. 6. 3.
[Python] tkinter grid 레이아웃 사용하기 Python에서 윈도우에 widget을 배치하는 방법으로 grid 레이아웃이 사용됩니다. 사용방법도 간단히 배치하고 싶은 widget을 행과 열을 지정하는 방법으로 쉽게 배치시킬 수 있습니다. 우선 간단히 윈도우에 버튼 4개를 grid 레이아웃을 사용하여 배치하는 예제를 구현해 보았습니다. 2행 2열의 grid 위에 배치를 하였습니다. import tkinter as tk root = tk.Tk() root.title("레이아웃 테스트") frame = tk.Frame(root) frame.pack() button0_0 = tk.Button(frame, text = "버튼0-0", width=20, bg="#00ffff") button0_0.grid(row = 0, column = 0) button0_1.. 2021. 5. 29.
USB 메모리에 파일 복사시 연결이 끊기는 문제 간단히 파일을 복사할 필요가 생겨 가지고 있던 구형 USB 메모리 16GB짜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복사하는 도중에 저절로 윈도우10에서 USB 연결이 해제되면서 복사가 실패하는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몇 번을 테스트 해 봤지만 3GB 중 대략 1.5GB 정도 USB 메모리에 쓰는 도중에 연결이 해제되었다가 재인식되는 현상이 반복되었습니다. 혹시나 해서 다른 구형 8GB짜리로 테스트를 해 보니 정상적으로 복사가 완료되는 것으로 보아 특정 USB 메모리에서만 발생되는 문제인 듯 보입니다. 아래는 제가 테스트에 사용한 USB 메모리입니다. 복사도중 연결이 해제되어 복사가 제대로 안됩니다. 이럴 경우 USB의 전원 관리 설정을 확인해 봐야 합니다. 제어판을 검색하여 실행합니다. 우측 상단에 '전원'으로 검색하여.. 2021. 4. 30.
MS Word 2016에서 문서 작성시 자동 생성된 가로 실선 삭제하기 MS Word에서 문서 작성 시 아래와 같이 의도하지 않게 가로 실선(테두리 선)이 생성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가로선을 지우려고 Del/Back space키를 눌러도 잘 지워지질 않습니다. 그럴 경우 지우고 싶은 가로선을 커서로 선택 후 윗 메뉴바의 테두리 아이콘을 선택하여 '테두리 없음'을 적용하면 삭제됩니다. (아래 이미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잘 지워지지않던 가로선(테두리 선)이 시원하게 삭제되었습니다. 참고로 가로실선의 자동 변환 및 해제는 아래 게시글을 참고 해 주시기 바랍니다. MS Word 2016에서 자동 변환되는 가로 실선 사용 및 해제하기 저는 MS Word 2016 버전을 사용하는데 기본적으로 테두리선의 자동변환 기능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면 --- 이렇게 - 기.. 2021. 4. 13.
MS Word 2016에서 자동 변환되는 가로 실선 사용 및 해제하기 저는 MS Word 2016 버전을 사용하는데 기본적으로 테두리선의 자동변환 기능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면 --- 이렇게 - 기호를 3개 연달아 사용 후 엔터키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자동으로 가로 실선이 만들어집니다. 자동변환에 사용할 수 있는 기호는 총 6가지가 지원됩니다. - (빼기 기호) _ (밑줄 기호) = (등호 기호) ~ (물결 기호) * (별표 기호) # (샵/우물정 기호) 각 각 실행 해 보면 아래와 같은 모양으로 가로 실선이 생성됩니다. 문서 작성 시 이러한 실선 사용이 유용할 수도 있지만 단순히 ---를 사용하고 싶은데 원치 않게 자동변환이 되어 불편한 경우도 있습니다. 설정/해제 방법 이럴경우 파일 -> 옵션 -> 언어교정 -> 자동 고침 옵션 -> 입력할 때 자동 서식 -> .. 2021. 4.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