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선랜은 별다른 설정없이 랜 케이블만 끼우면 자동 인식됩니다.
무선랜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2개의 파일을 수정해야 하는데, 그 보다 먼저 라즈베리파이 환경설정관련 부분을 먼저 변경해야 합니다.
첫번째로 제 경우 nano 에디터에서 키보드 레이아웃 설정이 잘못되어 있어서 ", @ 문자가 반대로 동작되었습니다. 그래서 먼저 키보드 레이아웃을 수정하였습니다.
Menu -> Preferences -> Mouse and Keyboard Settings을 클릭 후 Keyboard탭의 아랫부분의 Keyboard Layout...을 클릭하여 아래와 같이 104키/US/US로 설정합니다.
두번째로 Wireless LAN Country를 설정해야 합니다.
Menu -> Preferences -> Raspberry Pi Configuration의 Localisaziton탭의 아랫부분의 Set WLAN Country를 클릭하여 US로 설정합니다.
라즈베리파이관련 환경설정은 다 되었습니다.
다음 터미널창을 하나 띄워 sudo nano /etc/network/interfaces 파일을 열어 아래와 같이 수정해 줍니다.
그 다음 sudo nano /etc/wpa_supplicant/wpa_supplicant.conf 파일을 열어 아래와 같이 수정해 줍니다.
재부팅을 하여 무선랜이 IP를 얻어 오는지 확인 해 봅니다. wlan0가 정상적으로 IP를 할당 받았습니다.
무선랜의 경우 아이콘이 다르게 표시됩니다.
만약에 wlan0이 보이지 않는다면 아래 화면의 네트워크 아이콘을 눌러 WIFI를 켰는지 확인 후 재시도 해 보시기 바랍니다.
'Hardware > Raspberry 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베리파이 3B+] 한글 입/출력 설정하기 (0) | 2020.12.12 |
---|---|
[라즈베리파이 3B+] VNCServer 사용하기 (0) | 2020.12.11 |
[라즈베리파이 3B+] OS 설치 (0) | 2020.12.10 |
[라즈베리파이 3B+] 케이스 구매 (0) | 2020.12.10 |
[라즈베리파이 3B+] 구매 (0) | 2020.11.30 |
댓글